톰캣을 내렸는데 메모리 leak이 발생해서
톰켓을 강제로 죽여야하는 일이 발생했다.
그래서 찾던중 정리가 잘된게 있어서 남긴다.
# 톰켓 프로세스 확인
$ps -ef | grep tomcat
1)START 상황일 때,
/user/local/java/bin/java -Djava.util.logging.config.file=/home/tomcat/tomcat/conf/logging.properties
-D java.util.logging.manager=org.apache.juli.ClassLoaderLogManager
-D jdk.tls.ephemralDHkeySize=2048 -server -Xms256, -Xmx256m
-D java. endoresd.dirs=/home/tomcat/tomcat/endored
-classpath /home/tomcat/tomcat/bin/bootstrap.jar:/home/tomcat/toomcat/bin/tomcat....
temp org.apache.catalina.startup.Botstrap start
2)STOP 상황일 때,
-bash ps -ef
grep --color=auto tomcat
# 톰켓 시작 시키기
Tomcat경로/bin/$./startup.sh
# 톰켓 중지 시키기
Tomcat경로/bin/$./shutdown.sh
# 톰켓 Log 보고 싶을 때
Tomcat경로/logs/$vim catalina.out
Tomcat경로/logs/$ tail -f catalina.out
# 톰켓 죽이기
1)리눅스
$ps -efc | grep tomcat // 두번째 텝값이 PID값임
$kill -9 프로세스아이디값 // -9는 강제 종료를 의미
2)윈도우(커맨드창)
C:\>netstat -ao
프로토콜 로컬주소 외부주소 상태 PID
TCP 127.0.0.1:8080 *** *** 프로세스아이디값
C:\>taskkill /f /pid 프로세스아이디값
'Programming >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utty 자동로그인 (0) | 2019.10.10 |
---|---|
#ping 에 대해서 알아보자 (1) | 2019.10.01 |
Tomcat 프로세스 강제종료 (0) | 2019.09.19 |
window 10 web browser 기본세팅 변경하기 (0) | 2019.07.03 |
Window 제품키 알아내는 법 (0) | 2019.06.25 |